1. ESG는 무엇인가?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이다.

과거에는 기업을 평가함에 있어서 ‘얼마를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는가?’ 중심으로 ‘재무적’인 정량 지표가 기준이었다. 그러나 기후변화 등 최근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며 ‘비재무적’인 지표가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평가에 있어서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며, 투자자와 소비자들도 기업을 평가함에 있어 재무적 가치가 아닌 비재무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Source: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reas Rasche, Mette Morsing, Jeremy Moon (2017) 재정리
2. ESG경영의 시작
- 2004년 유엔글로벌 컴펙트 보고서에서 공식 용어로 처음 등장함
- 당시 유엔 사무총장인 코피 아난은 ESG를 고려한 글로벌 투자 운동을 주도하여 훗날 기업의 지속가능운동에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음
- 2006년 UN PRI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주도하에 생긴 지속가능성 투자원칙을 준수하는 국제기관연합체(규정과 기관 생성)결성됨
- 유엔에서 환경 이슈가 부각되면서 기업의 경영 스탠다드 필요성 자각
- 전반적으로 투자자 측면에서 책임 있는 투자로의 전환으로 시작된 경영 이슈
3. 왜 지금 ESG 경영이 부각되었는가?
기후위기 때문이다. 온실 가스로 인해 지구 온도가 상승하고 기상 이변이 생겨 대형 화재, 홍수 등 여러 환경 재해의 발생으로 인한 기후 위기 문제가 전 세계의 기업에게 영향을 줌.
BLACK ROCK (유수 대기업들의 대주주)의 CEO 래리 핑크는 기업들에게 편지를 보내 여러 번 강조한다.
“기후 위기는 투자 위기다. 지속가능성을 투자의 최우선 순위로 삼겠다” 고 선언하면서 “당신들의 사업모델을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할 수 있는 사업 계획을 발표하라” 는 요구를 제시한다. 래리 핑크의 요구는 다른 자산 운용사, 투자자, 연기금까지 대대적인 영향을 준다.
4. ESG경영의 지배구조
지배구조의 주요 이슈는 이사회가 독립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지 임원보수의 적절함, 뇌물 등의 부패부정 감시가 주요 테마이다. (위반 시 투자 철회 등) 실제 투자자인 연기금이나 자산 운용사의 주총 참석해서 근로자와 임원의 차이를 감시하기도 함
5. ESG경영에 대한 비판적 시각
1. 재무적 평가 기준은 숫자가 있으니 정확하고 양적인 계량화로 가능하지만 ESG경영은 계량화가 힘들고, 또 기업은 이익 창출이 목표인데 현실적 요건을 무시한 채 장밋빛 요소로 이야기하는 부분이 장기적인 트렌드가 될 수 있을까? 하는 부정적 시각.
2. 결과적으로 기업은 이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기업이 안정적인 투자를 많이 받기위해 ESG경영이 필수요소가 되었고 결국 기업의 재무적인 이익과도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큰손의 투자자뿐만이 큰 범주의 이해 관계자들로 투자가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ESG를 기업이익을 위해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3. ESG경영의 실체: 표면적으로는 착한 사업을 말하는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는 기업이 가진 숨은 리스크를 찾아내고 기업의 가치를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투자자들을 더 모을 수 있고 투자를 확대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식으로 변질될 수 있다.
넷제로(Net Zero) = 탄소중립: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그래도 배출되는 부분은 그만큼 흡수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실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사의 주요사건요약: 한국경제의 당면과제와 해법은? (0) | 2023.02.28 |
---|---|
ChatGPT에게 물어보았습니다. ChatGPT를 사용하여 돈을 버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3.02.27 |
기후 위기와 인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0) | 2023.02.05 |
[2022종부세] 다주택자 종부세율 최고 6%까지 인상된다 (0) | 2022.12.26 |
사람들은 왜 아이돌 광고에 열광할까? (1) | 2022.12.26 |